전체 글1449 "나라야마 부시코" II. “나라야마 부시코” 고령화 사회-일본의 고려장 -“나라야마 부시코”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노인 늙어서 나이 70이 되면 강제로 산 속에 내버려졌다는 “기로 전설”이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내려 오고 있는데 후카자와 시치로가 1956년 “중앙공론”에 “楢山節考 나라야마 부시코.. 2015. 8. 2. 이랔 아든 사망 진단서 없이 하늘나라에 오른 사람은 오로지 엘리야, 이랔 이 두 사람뿐입니다. 이랔은 아담의 7대손이고 노아의 방주로 살아온 노아의 증조부입니다. 이랔은 대홍수하고는 피할 수 없는 징벌의 예언과 역사를 가진 인물입니다. 이랔은 죽지 않고 행방불명되었는데 .. 2015. 8. 1. “부모의 원수는 한 하늘 밑에 같이 살 수 없고, 형제의 원수는 한 나라에 같이 살 수 없다. 역괴가 스스로 모자의 도리를 끊었으니 인목대비:“부모의 원수는 한 하늘 밑에 같이 살 수 없고, 형제의 원수는 한 나라에 같이 살 수 없다. 역괴가 스스로 모자의 도리를 끊었으니 나에게는 반드시 갚아야 할 원한이 있고 용서해야 할 도리는 없다.” 이덕형:“옛날에 중종께서 반정하시고 폐왕을 우대하여 천수를 마치게 했.. 2015. 8. 1. 수도사와 물고기 The Monk and the Fish Director/ Writer: Michael Dudok de Wit Music: La Folia: Arcangelo Corelli "There is a serene union between the monk and the fish in the end. In contrast to the ending, in the beginning the monk is obsessed, obsessed, obsessed, but in the ending he arrives at a resolution. In a quiet way, not with a big act. The Monk and the Fish is not a story about the solution of a conflict .. 2015. 8. 1. As Far As Florence Adrift in Fiery Layers of Memory The desert could not be claimed or owned—it was a piece of cloth carried by winds, never held down by stones, and given a hundred shifting names before Canterbury existed, long before battles and treaties quilted Europe and the East…. All of us, even those with European homes and children in the distance, wished to remove the clothing of our countries. It was a place o.. 2015. 8. 1. waiting Waiting 2015. 8. 1. “위대한 환상 Grand Illusion”-귀족 문화 영화 “위대한 환상 Grand Illusion”-자기 이익 추구 본성과 귀족 문화의 모순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는 로마 시대 라틴어 어휘인가? 왜 국가간 부족간에 성패가 나타나고 흥망성쇠의 역사가 나타나는가?-다윈의 자연도태설 다원은 인간은 민족적 단위로 살아가기에 도덕성이 .. 2015. 8. 1. 해바라기밭, 뽕밭, 갈대밭, 수수밭 속에서 정사 1. 이미숙 주연의 "뽕"에서 보여주듯이 울나라에서는 사랑을 '뽕밭"에서 했답니다. 한 번 들어가면 보이지 않는 뽕밭애서 돌벼개를 배었답니다. 울민요에 "뽕따러가세"는 아마도 그런 사랑의 의미가 담겨 있을 것이에요. 2. 영화 "해바라기". 이태리는 보카치오 소설에서 묘사하듯이, 들판.. 2015. 8. 1. 외국 유학간 잉어 영국의 맨더빌( 1733년 사망)의 풍자시 “잉어 The Carp” 잉어 The Carp 잘 생긴 잉어 한 마리가 좋은 집안에서 자라나 흐르는 맑은 강가에서 먹고 지내다가 자만심과 허영심으로 가득차 올라 한강을 버리고 바다로 갔다 새우와 왕새우 떼를 뚫고 나가 장난치며 뛰노는 멸치와 갈치를 만났다 몇.. 2015. 8. 1. 발가벗은 참 나무 참 나무 자신의 삶을 살라. 젊은이건 노인이건 저 참 나무같이, 봄엔 눈부시게 찬란한 황금처럼. 여름엔 풍성하게 다음, 그 다음 가을엔 변화하여 단풍들어 황금빛으로 다시 빛나는. 무성한 나뭇잎이 다 떨어져도 보라, 그는 꿋꿋하게 줄기와 가지만으로 강인함을 드러냄을. The Oak Live thy l.. 2015. 8. 1. 나무 아래서 억울하게 당할 때 “산천초목이 슬피 운다”고 말하는데 “하늘은 알고 있다”는 의미의 결백을 강조하는 의미의 다른 표현으로 “나무 아래서 맹세한다”는 말이 있다. 대륙에서는 특히 스페인 바스크 민족은 나무를 신성시 한다. 그만큼 우리나라도 나무를 신성시헤 왔고 서낭당을 지.. 2015. 8. 1. 클림프 황금빛 사과 나무 ”네게 필요한 존재였으면 했다 그 기쁨이었으면 했다 사람이기 때문에 지닌 슬픔이라던지 고통이라던지 번뇌라던지 일상의 그 아픔을 맑게 닦아낼 수 있는 네 그 음악이었으면 했다 산지기가 산을 지키듯이 적적한 널 지키는 적적한 그 산지기였으면 했다 “ - 조병화 - 남남 -중에서 사.. 2015. 7. 31. "검은 숲"의 나라 독일 독일은 숲의 나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동전에는 다보탑이 새겨져 있는데 독일 동전에는 참나무 잎이 그려져 잇다. 도토리나무를 우리나라에서는 “참나무”라고 부르는데 사실 참나무는 나무의 대명사이다. 진짜 나무인 것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문명의 발상지 그리스도 마.. 2015. 7. 31. 참새의 본능 참새 나는 사냥을 갔다 와서 정원의 긴뜰을 거닐고 있었다. 견공은 저만치 나를 앞서 달리고 있었다. 갑자기 견공이 종종 걸음을 치더니 무슨 냄새라도 맡은 듯 가만가만 걸어가기 시작하였다. 나는 길쪽을 바라보다가 부리가 노랗고 머리 위에 솜털이 난 새끼 참새 한 마리를 발견하였다.. 2015. 7. 31. 방탕한 자식이 돌아왔다-어떻게 할 것인가? 예수님의 비유 귀향 머나먼 외국으로 떠난 탕자는 오랜 방랑의 세월을 보내면서 그 동안 허망한 꿈을 쫓느냐고 지친 끝에 심한 궁핍을 겪고 스스로 목숨을 부지할 의욕마저 상실하게 되자 떠나온 아버지의 모습, 어머니가 허리 굽혀 보듬어주던 넉넉한 공간의 침실,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있었지만 울.. 2015. 7. 31. 필연주의 경험철학 입장에서 “바틀비 스토리” 해석 필연주의 입장에서 “바틀비 스토리” 해석 “바틀비 스토리”에서 화자인 변호사는 자신이 어쩌다가 바틀비를 만나서 그런 고통을 겪게 되는지 의문하다가 필연주의 결정론에서 말하는 고통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내가 어쩌다 이 필기사를 만나.. 2015. 7. 30. 인생칠십고려장-신화인가? 실재인가? 인생칠십고래희 인생칠십고려장 추홍희 지음 인생70고려장 서지정보 인생70고려장 차례 I 인생7십고려장–신화인가? 실재인가? 5 1 과연 추석날 부모를 생매장할 자식이 나타날 수 있을까? 1924년 추석날 부모 생매장 사건 2 “고려장 高麗葬”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人生七十古來稀 3 고.. 2015. 7. 30. 아낌없이 주는 나무 아낌없이 주는 나무 2015. 7. 30. 꿈 사랑 러브스토리 전 인순이씨가 왜 일캐 인기가 있을 줄 몰랐어요. 열정적으로 노랠 불러서일까요? 제가 오늘 인순이씨 실물은 첨 보네요. 초대가수로 열정적인 노래를 여러 곡 불러 주시고 감사패도 받아가시더군요. 인순이씨가 일캐 인기 있는 이유가 나름 있겠지요. 우리 삶은 열정 passion이 없으면 의.. 2015. 7. 30. 기상 나팔 마라톤. 내가 정식 마라톤 대회를 참가해 본 적은 없지만 군대에서 단축 마라톤 20 km 달기기 대회나 재미로 하는 마라톤 5 km 또는 10km 달리기 대회를 참가해봤습니다. 이런 재미로 하는 마라톤 대회이긴 하지만 군인들이 참가하는 만큼 결코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저는 홍수환 선수가 4.. 2015. 7. 30. 논산 육군 훈련소+평택 카투사 교육대 마음 심란했던 군대시절을 회상해 본다. **년8.9월에 논산 수용연대로 입대를 하니 그간 모르던 군인 계급이 두 개나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다름아닌 "장정과 훈병" 이 두 단계를 거쳐야 대한민국 정식 군인인 자랑스러운 "이병"이 될 수 있었으니 "이병"..정말 대단한 .. 2015. 7. 30.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