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49 법관과 시인 판례법국가의 법원판결문은 대륙법 국가하고는 달리, 대개 장문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장문의 판결문 법문화 가운데 매우 간결하여 실제판례인지 의심이 들 정도인 겨우 2 페이지에 불과한 ‘시’로 쓰여진 판례 Fisher v. Lowe 122 Mich.App. 418, 333 N.W.2d 67 (1983) 하나를 소개한다. 2 페이지에 .. 2015. 7. 28. 발이 부르틀 정도로 걷는 것 우리는 언제 고통에서 해방될까? 인간에게는 최악과 최선이 공존한다. 상황이 닥치면 무슨 짓이든 저지를 수 있는 존재다. 이 명제에 대해서 기원전 430년 디오니소스 축제 때 처음 공연된, 소포클레스의 비극작품 “외디푸스 왕”으로 한 번 알아보자. “외디푸스”라는 말은 어원적으로 .. 2015. 7. 28. 어떻게 볼 것인가? ways of seeing 유명한 베르메르의 그림입니다. The Art of painting (De Schilderkonst) c.1666-1668 oil on canvas 120 X 100 cm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 이 그림에서 주인공이 누구일까요? 모델처럼 책과 나팔을 들고 화가를 향해 서 있는 여인? 아니면 붓을 들고 그림을 그리고 있는 화가?? 아니면 크게 드리운 커튼?? 아니면 .. 2015. 7. 28. 식도락-You are what you eat. 하하 어디였었지? 기억력이 일캐 둔해서야??? 2015. 7. 28. 외디푸스 우리는 언제 고통에서 해방될까? 인간에는 최악과 최선이 공존한다. 인간은 상황이 닥치면 무슨 짓이든 저지를 수 있는 존재다. 기원전 430년 디오니소스 축제 때 처음 공연된, 소포클레스의 비극작품 “외디푸스 왕”. “외디푸스”라는 말은 어원적으로 “발이 부르튼 사람”을 말한다... 2015. 7. 28. 발 2015. 7. 28. 내포 문화 숲길 2015. 7. 28. 가야산 개심사 가야산 개심사 가야산 상왕사 2015. 7. 28. 계룡산 갑사 계룡산 갑사 2015. 7. 28. 계룡산 갑사 You are what you eat. 계룡산 갑사에서. 여름철 별미라는 삼계탕. 2015. 7. 28. 한라산 관음사 음사 2015. 7. 28.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5. 7. 28. 행복과 불일치는 동일한 대지가 낳은 한 자식이다. 이 둘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침묵하는 시즈프스의 기쁨이 바로 여기에 존재한다. 그의 운명 행복과 불일치는 동일한 대지가 낳은 한 자식이다. 이 둘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침묵하는 시즈프스의 기쁨이 바로 여기에 존재한다. 그의 운명은 전적으로 그에게 속한다. …. 나는 시지프스를 산 밑으로 밀어버린다! 우리는 항상 무거운 짐을 발견한다. 하지만 시지프스는 신을 부정.. 2015. 7. 28. 기득권을 변화시킬 힘 암살당한 링컨 대통령을 추모하는 휘트먼의 헌시 "O Captain! My Captain!" 제목에서 따온 '오 캡틴 마이 캡틴'으로 선생님을 호칭하라는 존 키팅 (얼마 전 자살한 로빈 윌리엄스 주연)은 그가 추구하는 교육 이념 carpe diem (카르페 디엠 seize the day 현재를 즐겨라)을 실천하려다 학교에서 쫓겨난다.. 2015. 7. 28. 이태백의 將進酒 vs 송강의 이단주 "달하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놀던 달아"---이런 우리 민요가 있는데, 그 이태백의 시에 ”將進酒”라는 시가 있다. 여기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人生得意須盡歡 莫使金樽空對月 天生我材必有用 千金散盡還復來” 이를 한 줄씩 해석해 보면 인생득의수진환: 인생 젊은 날 득의양양할.. 2015. 7. 28. 소네트 66 이 모든 것에 진절머리가 나 차라리 영원한 쉼을 얻고 싶네. 능력있는 사람들이 굶어 나가는 것을 보고 속없는 사람들이 겉만 화려한 옷으로 치장하는 것을 보고 성스런 약속은 어이없게 기만당하는 것을 보고, 성공과 명예는 부끄럽게도 전혀 딴 사람이 가로채 가는 것을 보고, 정조를 .. 2015. 7. 28. 우리가 바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우리가 바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우리는 이 땅의 주인이기를 원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기대와 욕구가 실현될 수 있는 그런 보다 아름답고, 고결하고, 품위가 넘치는 온전한 세상이 되기를 원합니다. 학교는 많고 감옥은 적은, 책은 많고 무기는 없는, 학문은 크고 악덕은 없어지는, 여가는 .. 2015. 7. 28. 미국은 왜 어떻게 다른가? 1. 마버리 Marbury 케이스 2. 사법부 독립과 사법 심사 제도 judicial review 마버리 Marbury 케이스 미국은 연방대법원이 위헌법률 심사권과 위헌명령심사권한을 동시에 행사하고 있다. 미국의 대법원이 어떻게 헌법 위기의 상황 속에서 헌법을 수호해 냈는지에 대한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나라의 헌법 위기와 그 해.. 2015. 7. 28. “나라야마 부시코” “나라야마 부시코” 단상 <사진,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 영상 캡쳐> (나라야마 부시코 영화에선 인간세상의 적나라한 본능이 나타나기에 우리나라 극장에서는 짤릴 부분이 많을 것임을 참고바람) 누가 희생자이고 누가 가해자인가? 홀어머니 오린(70세)의 외아들 다츠헤이의 나.. 2015. 7. 27. 이 시대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무엇인가?-시대 정신 이 시대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무엇인가?-시대 정신 법률과 관습에 의하여, 혹은 사회적 여론으로 낙인을 찍어서, 찬란한 문화를 간직한 문명 국가의 한복판에다 일부러 지옥을 만들려고 하거나, 신성한 자연법 질서에다 인간의 운명이라는 요소를 덧씌우려고 하는 한, 이 시대가 .. 2015. 7. 27. 문맹자 이 영화에서 이런 장면이 나오죠. 변호사가 된 남자 주인공이 과거 여인이었던 피고인의 재판을 방청하면서 처음으로 그 여자의 비밀을 알게 됩니다. 그 비밀은 그녀가 글을 전혀 읽을 줄도 모르는 문맹자라는 사실입니다. 피고인은 나찌 전범자로서 기솓히어 재판을 받고 있기 때문.. 2015. 7. 27.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