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대혁명/국부론의 종언10

행복의 조건과 "U 밴드" 행복 이론 U곡선 행복 이론 행복의 조건 사람들은 어떠한 때 행복하다고 느끼게 될까?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지금까지 일반적인 생각은 행복이란 사람마다 느끼는 조건이 각각 달라서 행복에 대한 객관적인 조건은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뇌신경연구분야의 fMRI.. 2015. 8. 22.
UE 통계청 지속가능한 발전 10가지 지표 UE 통계청 지속가능한 발전 10가지 지표 1. 사회경제적 발전 2. 기후변화와 에너지 3. 지속가능한 운송 교통 4.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5. 천연자원의 보존과 관리 6. 공중 보건 7. 사회적 포용성 8. 인구변동 (인구증가율의 둔화, 연령구조의 고령화) 9. 세계적인 동반자 관계 10. 정부 신뢰도- G.. 2015. 8. 21.
이해와 소통의 새로운 경제학의 아이디어 이해와 소통의 새로운 경제학의 아이디어 문제 해결에는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이해가 우선 요구된다. 인간에게는 올바른 노력이 필요하다. 이해가 되지 않는 곳에 노력을 해본들 그것은 헛수고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위대한 경제학자들은 정확히 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을 파악하고 .. 2015. 8. 21.
7. 정치 경제학의 새로운 혁명을 위하여 7. 정치 경제학의 새로운 혁명을 위하여 기존경제학자들의 낡은 사고로는 현재의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경제학자들은 경제성장율을 최대한 높이 달성하기 위해서 정부는 어떻게 국민경제를 관리해야 되는지에 조언해온 사람들이다. 그러나 경제는 실패했고, 결국 경제학자들은 .. 2015. 8. 21.
GDP 경제성장율에 중점을 둔 국가정책상의 문제점을 정확히 인식하여야 할 필요성 6. GDP 경제성장율에 중점을 둔 국가정책상의 문제점을 정확히 인식하여야 할 필요성 경제성장 맹신이 가져오는 부작용 물질적 경제성장에 대한 맹목적 집착이 가져온 부작용을 더 이상 마냥 방치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은 GDP경제성장을 지속하기란 더 .. 2015. 8. 21.
국민의 행복도는 GDP 경제성장율과 비례하지 않는다 4. 국민의 행복도는 GDP 성장과 비례하지 않는다 나라는 부유해진다하더라도 국민은 가난에 시달리고 있는 이유는? 사람들은 절대적으로 돈이 많을수록 더 행복할 것이라고 대부분 여겨왔다. 경제학 교과서를 통해 그렇게 배웠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대학 경제학 교과서로 자리잡은 하버.. 2015. 8. 21.
허울뿐인 풍요를 꿈꾸고 있는 한국인 허울뿐인 풍요를 꿈꾸고 있는 한국인 한국인들은 여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풍요와 영화 속에서 살고 있다. 한국에 물건과 돈의 풍요가 넘치고 있다. “경제 동물”이라는 말을 듣기도 하고, 돈을 버는 것만을 인생과 사회의 유일한 목적으로 살고 있다고 세계의 다른 나라들로부터 웃음.. 2015. 8. 21.
“왜 미국사람들은 소득이 높으면서도 그렇게 불안감을 느끼는가?” “왜 미국사람들은 소득이 높으면서도 그렇게 불안감을 느끼는가?” “미국인들은 자유롭고 지금 이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곳에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슬픔이나 심각함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그들이 아직도 소유하지 못한 어떤 이익을 기대하고.. 2015. 8. 21.
국가란 무엇인가?-토마스 홉스의 "리바이어던" 국가란 무엇인가?-토마스 홉스의 "리바이어던" 대상으로부터 해를 입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 ‘혐오’는 공포라고 한다. 저항하면 그 해를 피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 ‘혐오’는 용기라고 한다. 돌연한 ‘용기’는 분노라고 한다. 변함없는 ‘희망’은 자신이라고 한다. 변함없는 ‘.. 2015. 8. 21.
경제학 대혁명: 새로운 경제학의 태동과 진행방향 경제학 대혁명: 새로운 경제학의 태동과 진행방향 추홍희 지음 1. 서문 70년대 많은 드라마의 전형은 가련한 여주인공이 운명의 반전을 만나 돈 많고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지만 행복을 찾지 못하다가 진정한 사랑을 발견하고 나서야 행복을 얻게 된다는 스토리다. 그러나 이 뻔한 뻔자 행.. 2015.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