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49 All men are fallible. 人はみな誤りに陥りがちだ。 On reflection, 사람(인간)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예문들입니다. 일본어 싸이트에서 그대로 카피해 옵니다. 人々は他人を偏見で見がちだ。 [T] People tend to look at others with bias. 人々は教授が英語を話せるのは当然のことと思いがちだ。 [T] People ar.. 2011. 8. 12. 당신이 어두움에 있을 때 들으라. 1. When you are in the dark, listen, and God will give you a very precious message. 당신이 어두움에 있을 때 들으라. 그러면 하나님께서는 당신에게 아주 귀한 메시지를 주실 것이다. (주님은 나의 최고봉) 2. It may be hard for a rich man to enter into the Kingdom of heaven, but it is just as hard for a poor man to seek first the Kingdom of God. 부자가 .. 2011. 8. 12. 비관론자들이여? 비관론자들이 대답하기 힘든 질문 5가지- 약세론자들이 대답하기 힘든 질문 5가지- 비관론자들은 실패만을 뒤지고 있는가? 필자는 타고난 낙천주의자가 아니다. 오히려 불평을 많이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과 경제를 대체적으로 낙관하고 있다. 고용시장은 꾸준하게 개선돼 왔다. 지난 6개월간 미국에서는 100만개의 일자리가 생겼다. 맥.. 2011. 7. 31. 그 여자를 만난 죄 프로메테우스도 그의 아름다움에 넘어갔다. 그는 즉각 그가 돕고 싶어하던 불쌍한 인간들에게 불행이 닥칠 것을 예감했다. 일이 발생하기 전에 생각하는 자 (Pro-metheus)라는 그의 이름대로, 그는 누구보다 먼저 사태를 파악하고 미래를 내다볼 줄 알았다. 반면에 그의 형제 에피메테우스(Epimetheus)는 그 .. 2011. 7. 31. 당신은 남자입니다 If If you can keep your head when all about you Are losing theirs and blaming it on you; If you can trust yourself when all men doubt you, But make allowance for their doubting too: If you can wait and not be tired by waiting, Or, being lied about, don't deal in lies, Or being hated don't give way to hating, And yet don't look too good, nor talk too wise; If you can dream---and not make dreams .. 2011. 7. 29. 패러독스 “두려워하면서 희망에 부풀고, 타면서 얼음처럼 얼어붙네 싸움은 끝났는데 나는 안정을 찾지 못하고, 두려워하면서 희망에 부풀고, 타면서 얼음처럼 얼어붙네. 높이 날면서도 오르지 못하고 가진 것 하나 없는데 온 세상 다 쥐고 있다네. 놓지도 붙잡지도 않는 것이 나를 감옥에 가두고 매이지도 않.. 2011. 7. 29. 왜 미국인들은 번영 속에서도 그렇게 불안을 느끼는가? “왜 미국인들은 번영 속에서도 그렇게 불안을 느끼는가?” “미국인들은자유롭고 지금 이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곳에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픔이나 심각함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그들이 아직도 소유하지 못한 어떤 이익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 2011. 7. 27. 왜 "불쌍한 백만장자"가 브로커의 전설` 장희순 씨 사망 소식에… "업계 최고 증권 브로커(영업맨)의 마지막 모습을 보니 착잡합니다. " 한 대형증권사 법인영업부장은 비가 내리는 14일 오전 장희순 AT투자자문 대표의 별세 소식을 전하면서 치열한 증권업계 영업 현실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13일 51세의 나.. 2011. 7. 15. 마키아벨리 2011. 7. 15. 20년만에 한국을 여행하고 느낀 단상 5 한국에 풍요가 넘친다. 없는 것 빼고 다 있다. ^^* 길거리에 넘친 게 자동차다. 낙동강을 범란케한 대홍수같이 자동차의 물결은 넘쳐나고 있다. 그리고 넘쳐나는 것이 아파트다. 주위의 산보다 더 높은 초고층 아파트들이 이 들판에서 저들판으로 지천으로 널려 있다. 항구 도시 부산를 비행기 위에서 .. 2011. 7. 14. 갈브레이드 “풍요한 사회(The Affluent Society)”에서 말하는 내용은? 갈브레이드가 “풍요한 사회(The Affluent Society)”에서 주장하는 결론 벤자민 프랭클린이 말하는 부자의 개념 “시간은 금”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미국 자본주의 대부라고 불리우는 벤자민 프랭클린(B Franklin, 1706~1790)이 전한 것으로 유명한 격언이다. 프랭클린은1732년 부터 “가난한 .. 2011. 7. 12. 사회 보장과 여가 여유를 만들어내는 것 – 사회보장과 자유시간 “풍요라는 말은 “여유가 있는 것”이라는 말로 자주 이야기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소득이 같더라도 주택과 예금 등의 자산이 있는 사람은 여유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여유가 없다. 또는 물질적 조건이 같더라도 시간에 여유가 있으면 느긋하.. 2011. 7. 6. 돈과 물건이 넘치는 나라 돈과 물건이 넘치는 나라 일본은 풍요로운 나라라고 한다. 일본인이 1인당 GNP는 1988년 302만 6천엔(23,620달러)으로 이미 1986년에 미국을 따라잡았다. 일본의 국토면적은 미국의 1/25밖에 안되지만 땅값의 총액은 미국전체의 4배를 넘는다. (1987년 말, 1637조엔)고 한다. 일본인의 저축합계는 약 580조엔으로 1.. 2011. 7. 5. 일본 따라쟁이(copycat) 일본을 답습하는 한국 한국은 일본의 따라쟁이(copycat) 한국은 일본을 따라간다. 좋은 면에서가 아니다. 모든 나쁜 것들을 따라하고 있다. 한국이 일본 식민지에서 해방된 지가 60년도 훨씬 더 지났다. 그런데도 반대로 한국은 일본 판박이같이 일본 그대로를 복사한 것 같이 나타나고 말았.. 2011. 7. 4. 풍요를 향한 길을 잘못 걸어온 일본 풍요를 향한 길을 잘못 걸어온 일본 원래 경제활동은 인간을 기아와 질병과 장시간 노동에서 해방하기 위한 것이었다. 경제가 발전하면 할수록, 여유있는 복지사회가 실현되어야 했다. 그런 점에서 일본은 돈을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거꾸로 간다. 사람들은 더욱더 쫓기고 있고(선진국중 가장 긴 노동.. 2011. 7. 3. 시간을 빼앗긴 생활 시간을 빼앗긴 생활 매일매일을 돌아보면, 살인적 러시아워에 전철과 버스에 타지 못하고 처지지 않기 위해 타인을 밀어제쳐서라도 올라타지 않으면 안되는 근로자와 학생들이 있다. 대도시에서는 출근하는데만 한 시간 반, 왕복 3시간을 초만원인 차 안에서 계속 서서 출퇴근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 2011. 7. 2. 허울뿐인 풍요 허울뿐인 풍요 – 여유와 동정을 잃어버리다 일본의 풍요가 실은 뿌리가 없는 표면적인 풍요일 뿐이며, 그 이면에는 지옥이 입을 벌리고 있고, 허약하게 지탱되는 사상누각처럼 사치가 곧 무너지리라는 예감을 많은 일본인들이 마음 속으로 몰래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만일 .. 2011. 7. 2. 돈 받고 졸업장 복사해주는 “학위 공장(degree mill)” 대학 List 대학 구조 조정은 늦출 수가 없는 문제다 당ㆍ정ㆍ청 9인 회의를 환영한다. 대학 구조 조정은 즉시 실행되어야 한다. 30년전, 20년전- 10년전 아마도 최근까지도 그럴 것 같은데 (지방대가 무조건 서울소재대학보다 뒤처진 것 빼고, 그리고 포항공대하고 카이스트가 최고 명문대학 대열로 올라선 것 제외.. 2011. 6. 28. 한국을 돌아보고 느낀 점 20년만에 한국을 돌아보고 느낀 점 한국은 일본의식민지인가?미국의식민지인가? 종이신문사들의 언론통폐합 구조조정 한국에 왔다. 외국을 돌며 그간 강산이 두 번 변했다. 20년이란 세월만큼 변한 것이 많다. 그 시간의 변화만큼 낯설은 면이 많다. 오랜 만에 친구를 만나면 무슨 말을 가.. 2011. 6. 27. 사람들은 언제 행복을 찾는가? U-bend 행복 이론이 가르쳐주는 것 중년위기를 겪고나서 행복을 찾는 이유-U-bend 행복 이론 연륜 소크라테스는 역사상 지혜의 달인자 중 최고에 속한다. 소크라테스가 어떻게 지혜의 최고 고수가 되었는지에 대한 단서를 그의 제자 플라톤이 쓴 “공화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노인들.. 2011. 6. 18. 내인생 가장 밑바닥을 치는 나이는 몇 살? 47세에 인생 밑바닥을 치는 이유 - 40대 중년위기를 겪고나서 행복을 찾는 이유 잘 알려진대로 이세상에서 3가지 거짓말이 있다. “노처녀가 시집가지 않겠다” “노인이 빨리 죽고 싶다”, “장사하는사람이 손해보고 판다” 이런 3가지 말이 바로 그거다. 우리 주위에 결혼하고 싶지 않.. 2011. 6. 17.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