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대혁명150 직장에서의 외모의 중요성 직장에서의 외모의 중요성 On the Job, Beauty Is More Than Skin-Deep By SUE SHELLENBARGER 사람들은 대부분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이 커리어에서도 혜택을 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확히 ‘얼마나’ 도움이 될까? 답은 ‘많이’다. 외모가 뛰어난 사람들은 인터뷰담당자에게 호감을 주어 더 빨.. 2011. 10. 28. 미국 전역에 퍼져나가는 비관주의 미국 전역에 퍼져나가는 비관주의 By DAVID WESSEL 미국근로자를 승자와 패자로 나누어 본다면 4년제 대학학위를 갖고 있는 30%가 승자인 것처럼 보인다. 취업비율도 높다. 대학졸업생 실업률이 4.2%인 반면 고등학교졸업생의 실업률은 9.7%나 된다. 돈도 더 많이 번다. 4년제 대학을 졸업.. 2011. 10. 28. 저성장 시대 본격 진입 시장이 첫 출근했다. 박 시장은 첫 업무로 무상급식 관련 예산지원안을 처리했다. 언론들은 각 세대에 널리 퍼진 ‘불안’과 ‘분노’, ‘절망’을 박 시장의 당선 요인으로 꼽았다. 한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놓고 28일 여야가 다시 한 번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강행처리 입장을.. 2011. 10. 28. 국민소득 3만불? 내 몫은 누가 가져갔나 국민소득 3만불? 내 몫은 누가 가져갔나 2011.10.19 14:50 2011. 10. 20. 행복 경제학 The Economics of Happiness - Official Trailer from The Economics of Happiness on Vimeo. Full Synopsis Economic globalization has led to a massive expansion in the scale and power of big business and banking. It has also worsened nearly every problem we face: fundamentalism and ethnic conflict; climate chaos and species extinction; financial instability and unemployment. There are personal costs.. 2011. 10. 13. 제프리 색스 경제학교수의 "행복의 경제학(The Economics of Happiness)" copied. 컬럼비아 대학 제프리 D. 색스 경제학 ( Jeffrey David Sachs) 교수가 ‘행복의 경제학(The Economics of Happiness)’이라는 칼럼을 썼습니다. 행복을 추구하는 올바른 태도를 연구한 결과로 Project Syndicate에 발표했습니다. 제프리 D. 색스 교수는 세계는 지금 역사상 최고의 부를 만들었지만 사람들은 불안정하.. 2011. 10. 13. Why Danes Are So Much Happier Than Americans Why Danes Are So Much Happier Than Americans Danish happiness has been attributed to their legendary income equality -- but there's more to it than that. October 9, 2011 | Americans may be deeply divided about what ails our country, but there's no denying we're a nation of unhappy campers. Danes, on the other hand, consistently rank as some of the happiest people in the world, a fact attributed.. 2011. 10. 12. Why America Should Spread the Wealth Why America Should Spread the Wealth By MARK THOMA, The Fiscal Times October 11, 2011 Many economists worry that making societies more equal through income redistribution or other means lowers economic growth. This “big tradeoff” between equality and efficiency, which is supported by comparisons of capitalist and socialist countries, implies that there is a limit to how much redistribution .. 2011. 10. 12. 미국 부동산 대폭락 In the new Vanity Fair, Michael Lewis has a piece on some Greek monks who turned a Medieval land deed into a modern real-estate empire. It's a good read, and Lewis frames it beautifully within the global context of the credit boom: The credit wasn’t just money, it was temptation. It offered entire societies the chance to reveal aspects of their characters they could not normally afford to ind.. 2011. 10. 11. 106 of the most beloved Street Art Photos 106 of the most beloved Street Art Photos – Year 2010 More info. More info. More Banksy on streetartutopia.com. More info. More 3D on streetartutopia.com. More of this on streetartutopia.com. More Big Walls on streetartutopia.com. More info. More info. More by Herakut on streetartutopia.com. More info. See more on A Street Art Tribute – Heath Ledger as Joker. More info. More 3D on streetart.. 2011. 10. 10. What is Happiness ? 인지심리학자 낸시 에트코프의 행복에 관한 강의 인지심리학자 낸시 에트코프의 행복에 관한 강의 What is Happiness? http://www.ted.com/talks/lang/kor/nancy_etcoff_on_happiness_and_why_we_want_it.html 2011. 10. 9. 노후경제행복지수 모든 세대가 불안 위기의 40대]40대 71%가 빚에 허덕… 20년뒤 가장 ‘위험한 세대’ 본보-보건사회硏 공동조사… ‘노후 행복지수’도 66점 바닥권 올해 은행 부지점장으로 승진한 김모 씨(44). 남들 보기엔 번듯하지만 속이 탄다. 언제 회사를 떠나야 할지 모르는데 저축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씨는 "솔.. 2011. 9. 22. 한국인이 분노하고 있다. 한국인이 분노하고 있다. 빈곤층이나 일부 사회 불만 세력에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부유층이나 기득권층도 그들대로 분노를 표출한다. 젊은 층이건 중년층이건 혹은 노년층이건 세대 간 차이도 없다. 한국인에게 일반적인 정서가 돼버렸다. 분노라는 파괴적 에너지가 확산되면서 경제 성장으로 지탱.. 2011. 9. 22. 가난한자도…부자마저도…아무도 행복하지 않다 가난한자도…부자마저도…아무도 행복하지 않다 분노의 시대 ① ◆한국인들은 14년 만에 국가 존립 목표를 달리 보기 시작했다. 1998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국민은 '조금만 더 참으면 다시 잘살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경제 강국 진입을 꿈꿨다. 나라가 잘살게 되.. 2011. 9. 22. 65세 이상 노인 인구 500만명 사상 첫 돌파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노인(65세 이상) 인구가 사상 처음 500만명을 넘어섰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1일 내놓은 '2011년 상반기 건강보험 주요 통계'에서 "지난 6월말 현재 우리나라 건강보험 적용 인구는 4912만7000명이며 이 중 노인은 506만2000명"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기준 497만9000명이던 건강보험 .. 2011. 9. 22. 부동산대폭락=>백문이불여일견=>미국 상황을 함 보시라 부동산 대폭락=>백문이불여일견=>미국 상황 백문이 불여일견- 함 보자=> 미국 집값 폭락했다. then 한국도 마자 폭락한다! 그림에서와 같이 미국의 집값이 이렇게 크게 떨어졌다. 캘리포니아 주, 플로리다주는 15% 까지 대폭락했다. nevertheless, 부동산 불패 신화를 이어간다고 생각하는가? ==> 꿈깨.. 2011. 8. 27. 국가 파산 재정 위기에 직면한 일본과 망하는 회사와의 공통점 국가 파산 재정 위기에 직면한 일본과 망하는 회사와의 공통점 어떤 회사가 망할 것인지를 미리 낌새를 알아채는 방법들이 몇 개가 있습니다. 회사가 파산하는 전에 대체로 몇 가지 징후가 사전에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그 중에 3가지 징후를 말해보면 1. 회사 실적이 나빠지기 시작한다. 회사 실적 추.. 2011. 8. 27. 비관론자들이여? 비관론자들이 대답하기 힘든 질문 5가지- 약세론자들이 대답하기 힘든 질문 5가지- 비관론자들은 실패만을 뒤지고 있는가? 필자는 타고난 낙천주의자가 아니다. 오히려 불평을 많이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과 경제를 대체적으로 낙관하고 있다. 고용시장은 꾸준하게 개선돼 왔다. 지난 6개월간 미국에서는 100만개의 일자리가 생겼다. 맥.. 2011. 7. 31. 왜 미국인들은 번영 속에서도 그렇게 불안을 느끼는가? “왜 미국인들은 번영 속에서도 그렇게 불안을 느끼는가?” “미국인들은자유롭고 지금 이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곳에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픔이나 심각함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그들이 아직도 소유하지 못한 어떤 이익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 2011. 7. 27. 20년만에 한국을 여행하고 느낀 단상 5 한국에 풍요가 넘친다. 없는 것 빼고 다 있다. ^^* 길거리에 넘친 게 자동차다. 낙동강을 범란케한 대홍수같이 자동차의 물결은 넘쳐나고 있다. 그리고 넘쳐나는 것이 아파트다. 주위의 산보다 더 높은 초고층 아파트들이 이 들판에서 저들판으로 지천으로 널려 있다. 항구 도시 부산를 비행기 위에서 .. 2011. 7. 14. 갈브레이드 “풍요한 사회(The Affluent Society)”에서 말하는 내용은? 갈브레이드가 “풍요한 사회(The Affluent Society)”에서 주장하는 결론 벤자민 프랭클린이 말하는 부자의 개념 “시간은 금”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미국 자본주의 대부라고 불리우는 벤자민 프랭클린(B Franklin, 1706~1790)이 전한 것으로 유명한 격언이다. 프랭클린은1732년 부터 “가난한 .. 2011. 7. 12. 일본 따라쟁이(copycat) 일본을 답습하는 한국 한국은 일본의 따라쟁이(copycat) 한국은 일본을 따라간다. 좋은 면에서가 아니다. 모든 나쁜 것들을 따라하고 있다. 한국이 일본 식민지에서 해방된 지가 60년도 훨씬 더 지났다. 그런데도 반대로 한국은 일본 판박이같이 일본 그대로를 복사한 것 같이 나타나고 말았.. 2011. 7. 4. 돈 받고 졸업장 복사해주는 “학위 공장(degree mill)” 대학 List 대학 구조 조정은 늦출 수가 없는 문제다 당ㆍ정ㆍ청 9인 회의를 환영한다. 대학 구조 조정은 즉시 실행되어야 한다. 30년전, 20년전- 10년전 아마도 최근까지도 그럴 것 같은데 (지방대가 무조건 서울소재대학보다 뒤처진 것 빼고, 그리고 포항공대하고 카이스트가 최고 명문대학 대열로 올라선 것 제외.. 2011. 6. 28. 한국을 돌아보고 느낀 점 20년만에 한국을 돌아보고 느낀 점 한국은 일본의식민지인가?미국의식민지인가? 종이신문사들의 언론통폐합 구조조정 한국에 왔다. 외국을 돌며 그간 강산이 두 번 변했다. 20년이란 세월만큼 변한 것이 많다. 그 시간의 변화만큼 낯설은 면이 많다. 오랜 만에 친구를 만나면 무슨 말을 가.. 2011. 6. 27. 사람들은 언제 행복을 찾는가? U-bend 행복 이론이 가르쳐주는 것 중년위기를 겪고나서 행복을 찾는 이유-U-bend 행복 이론 연륜 소크라테스는 역사상 지혜의 달인자 중 최고에 속한다. 소크라테스가 어떻게 지혜의 최고 고수가 되었는지에 대한 단서를 그의 제자 플라톤이 쓴 “공화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노인들.. 2011. 6. 18. 내인생 가장 밑바닥을 치는 나이는 몇 살? 47세에 인생 밑바닥을 치는 이유 - 40대 중년위기를 겪고나서 행복을 찾는 이유 잘 알려진대로 이세상에서 3가지 거짓말이 있다. “노처녀가 시집가지 않겠다” “노인이 빨리 죽고 싶다”, “장사하는사람이 손해보고 판다” 이런 3가지 말이 바로 그거다. 우리 주위에 결혼하고 싶지 않.. 2011. 6. 17. 중년위기를 겪고나서 행복을 찾는 이유-U-bend이론 중년위기를 겪고나서 행복을 찾는 이유-U-bend 행복 이론 연륜 소크라테스는 역사상 지혜의 달인자 중 최고에 속한다. 소크라테스가 어떻게 지혜의 최고 고수가 되었는지에 대한 단서를 그의 제자 플라톤이 쓴 “공화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노인들.. 2011. 6. 17.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인간이 되는 것이 낫고, 만족해하는 바보보다 불만에 가득찬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낫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인간이 되는 것이 낫고, 만족해하는 바보보다 불만에 가득찬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낫다. 바보나 돼지가 여기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졌다 해도, 그들은 문제의 한면에 대해서만 알 뿐이지만, 인간과 소크라테스는 양쪽을 모두 안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It is better to be a h.. 2011. 6. 3. 대학 등록금 없는 선진국의 무상교육 제도를 즉각 도입하여야 등록금 없는 대학 무상 교육, 무상교육 복지 국가 이렇게 가능하다 등록금 없는 대학 무상 교육이 가능한 경제학적 근거 교육은 인적자본으로 투자에 해당된다. 투자없이 발전이란 있을 수 없다. 국가 발전에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인적자본은 긍정적인 “외부효과(externality)”를 가져온다. 경제.. 2011. 6. 3. 가족의 의미 “인간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다. 가족이 아니라면 인간은 숲속길을 지나는 벌레보다 못한 존재다.인간은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반드시 가족과 함께 해야 한다.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는 인간은 그가 가장 먼저 직면한 문제가 적의 손에 죽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어.. 2011. 5. 2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