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대혁명150

직장을 그만 두고 싶다는 생각일 들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직장을 그만두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 때 IMF이후 “45정”이 보편화되어서 정년퇴직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회사원들은 짤리기 전에 미리 알아서 퇴직을 하려는 경우는 많지 않다. 현대는 모두가 “직업병”을 앓고 있다. 전문적인 직업인이든 고용종업.. 2012. 8. 3.
자본주의 경제 체제는 왜 파괴될 수 밖애 없는가? 자본주의는 "파괴"가 바로 그 실상이다. individual pursuit of self-interest that created capitalism will also destroy it. 미국의 유명한 경제학자 슘패터는 이렇게 말했다. “창조적 파괴를 추진하는 자본주의 에토스가 쇠약해져 자본주의의 두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사유재산제도와 자유계약제도가 유명.. 2012. 7. 19.
장 드 플로레 Verdi의 “La Porza Del Destino의 서곡”: 1986년 불란서 영화. 너무나 감명깊은 영화가 바로 이 영화가 아닐까?. 인간세계의 변함없는 인간성 인 탐욕 과 편견. 운명 (fate or destiny), 도시 와 시골 적 삶, 땅의 가치, 가족의 의미, 도덕. 사람은 무엇 때문에 사는가? 이런 근본적인 의문울 던지는 영화.. 2012. 7. 2.
"행복"을 추구하는 대신 "깨달음"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 "돈으로는 행복의 집을 잘 지을 수가 없다 큰 돈을 벌어서 그 터전 위에 행복의 집을 지으려는 것처럼 어리석은 생각은 없다. 돈이 없을 때는 돈만 있으면 만사가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돈을 토대로 지은 집처럼 쉽게 무너지는 건축물도 없다. 그것이 다른 건축물과 다른 점이다. 젊.. 2012. 6. 25.
그많던 프로이드 정신분석학은 이디로 숨었나? 20세기 전반 지식인의 세계를 주름잡은 학문풍토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이었다. 그러나 정신분석학은 20세기 후반들어 거의 잊혀지고 말았다. 정신분석학은 프로이드가 환자를 치료한 방법처럼 환자와 “대화”를 나누면서 숨어 있던(잠재된) 과거의 의식세계를 찾아내는 것이다. 과.. 2012. 6. 8.
깊게 패인 길거리 보도 블록이 깨진 것처럼, 왜 인생은 이렇게 슬픈 것인지? “깊게 패인 길거리 보도 블록이 깨진 것처럼, 왜 인생은 이렇게 슬픈 것인지? 축 처진 느낌이다. 현기증이 난다. 내가 저 방끝까지 걸어나 갈 수 있을려나? 가만 있자, 내가 왜 이런 기분이 들어야 할까? 내가 이렇게 느끼지 않는다면 어떨까? 글을 쓰면 슬픔이 사라진다. 글을 쓰지 않으면.. 2012. 6. 6.
행복은 GDP순이 아니잖아요? isn't? 보도일시 2012. 5. 11(금) 배포시 배포일시 2012. 5. 11(금) 09:00 담당부서 대외경제국 담당과장 담 당 자 제목: 행복지수의 세계적 중요성과 시사점 □ GDP개념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적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 4월 유엔 세계 행복 보고서 발표 이후 행복지수의 중요성이 강조.. 2012. 5. 11.
돈 때문에 살인을 했다 “많은 재산을 가진 독신 남자에게 아내가 필요하다는 것은 세상 사람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a truth universally acknowledged that a single man in possession of a good fortune must be in want of a wife.”) 이 말은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에 나오는 첫문장이다. 제인 오스틴이 살았던 시대가 200년이 .. 2012. 4. 24.
슬프도록 아름다운 우리의 사랑 이야기를 들어보실래요 sad sweet music 인순이씨가 등장하니까 많은 선후배님들이 환호하더군요. 전 인순이씨가 왜 일캐 인기가 있을 줄 몰랐어요. 열정적으로 노랠 불러서일까요? 제가 오늘 인순이씨 실물은 첨 보네요. 초대가수로 열정적인 노래를 여러 곡 불러 주시고 감사패도 받아가시더군요. 인순이씨가 일캐 인기 있는 .. 2012. 4. 24.
이 아름다운 산과 강~~~ 프로페셔널 사진 작가 싸이트에서 퍼왔습니다. http://www.cleangreen.co.nz Mountain Biker - Aoraki Mt Cook National Park 2012. 3. 12.
Rogue, Thief, 모두가 도둑놈인 세상 Rogue, rogue, rogue! 이 세상은 모두가 도둑놈!!!! 민나 도로보데스 みんな どろぼうです 이 썩을 놈의 망할 놈의 젖 같은 세상입니다.~~~~~~~~~~~~~~~~~ “금(돈=money)이 무엇이냐? 귀중하고 반짝거리는 고귀한 황금은 무엇이냐구요? 아니, 하늘이시여! 제가 여유있는 수도승도 아니지만 이것만은 알.. 2012. 2. 28.
정청래의 여성의무할당 공천제 반발에 대해 앞서 "기회의 평등"을 언급했다. 하나 더 얘기한다. 우리나라에서 사시를 폐지하고 로스쿨을 설립했던 취지도 아마 “기회의 평등”가치 실현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개천에 용 나는 것”이 아니라 아예 개천에 용이 나올 수 없게끔 개천에 콘크리트 회벽칠을 해버리는 .. 2012. 2. 12.
안철수 재단의 기부금 성격에 대해 안철수재단이 어려운 사람을 돕는 기본적인 구도는 어려움 사람들에게 조건없는 기부가 아니라 돈을 빌려주고 성공하면 다시 갚는 것이라고 한다. 안철수 재단은 2006년도 노벨평화상 수상자 유누스 Yunus의 그라민 은행Grameen Bank 이 그 모델인지도 모른다. a social business is a hybrid in which owne.. 2012. 2. 10.
130년 역사 미국 기업을 대표했던 코닥이 파산했다 코닥- 131년의 역사를 가진 세계최고의 최첨단 기업의 대명사이었던 코닥이 결국 파산하였다. 그동안 코닥 필름 한번 안 써 본 사람이 누가 있겠어? 19세기 20세기 역사를 새로 쓴 사진의 발명. 영화 텔레비젼도 사진기 발명에서 나왔다. 예술에 대한 개념도 바꾼 사진기. 기술 발전.. 2012. 1. 20.
박근혜의 비데위 & O양의 비데오, 한성주의 섹스동영상 우리는 엄연한 인간본성을 받아들이는데 익숙하지 않다. 그래서 자기자신마저도 속여야만 살아갈 수 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분명 따스한 말 한 마디가 더큰 위로가 될지 모릅니다. 그러나 인구경제학자 맬더스가 잘 파악하였듯이 , 약한 자에게 동정심을 보여주는 것은 오히려 .. 2012. 1. 18.
졸업 25주년 기념 모교 방문 축제를 다녀와서 다음 글은 제가 오려둔 어느 외국 잡지에서 읽은 글 일부분을 한국말로 번역한 글입니다. “40대 동창회, 졸업 25주년 기념 모교 방문축제를 다녀와서 졸업25주년 기념 모교방문축제에 참석하는 것을 나는 처음에는 주저하였다. 모교방문축제라는 것은 뚱뚱하고 머리 벗겨진 40대 .. 2012. 1. 16.
경제학 실무이론가들의 의무 아담 스미스, 칼 마르크스와 함께 경제학의 3거두에 속하는 메이너드 케인즈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경제학에서 큰 학술논문이 교육적 가치를 가질 수는 있을지 모르겠다. 한 세대에 한 권 정도의 그런 대저작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사실은 끊임없이 변한다는 관점에서 또 고.. 2012. 1. 5.
for 더미, “행복 국가”는 “복지 국가”. "행복"이란 말의 의미? 우리에서는 “행복”이란 말은 타부시되는 하나의 금기어로 취급받고 있다. 국민의 43%정도가 자신들은 하층민이라고 여기는 나라에서 “행복”이라는 말은 배부른자의 언어도단으로 여길지 모른다. 가진 부자계급은 떳떳하지 못하게 돈을 벌고, 주류상류층은 부.. 2011. 12. 28.
내가 군대에서 배운 삶 art of living 우리 인생은 "메모리(추억)"이라고 말들 하는데. 대학시절 다음으로 가장 기억에 선명하게 남아 있는 것은 나의 군대시절이다. 군대에서 난생처음 경험한 것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말과 문화가 서로 통하지 않는 이국의 코쟁이들과 같이 군대생활하면서 그들의 섹스, 마약, 음.. 2011. 12. 22.
행복 국가를 위한 블루 북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저/이창신 역 | 김영사 | 원서 : 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 위의 책을 읽으신 님들에게 다음 책을 권합니다. 책 내용 미리 보기 ==> http://www.yes24.com/24/viewer/preview/5924654 "행복국가를 정치하라" 이 책은 알라딘서점에서 [미디어 추천 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2011. 12. 10.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 WHY? 책 내용 미리 보기 ==> http://www.yes24.com/24/viewer/preview/5924654 "행복국가를 정치하라" 이 책은 동아일보 세계일보등 미디어와 예스24서점, 교보문고에서 [놓쳐서는 안될 신간]으로 소개되었습니다. 라야드의 “행복 경제학”의 마지막 부분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 “공유된 목표를 설정하지 .. 2011. 12. 1.
미국사람들은 왜 행복하지 않을까? 행복의 함정: 가질수록 행복은 왜 줄어드는가 리처드 레이어드 저/정은아 역/이정전 해제 | 북하이브 | 원서 : Happiness GDP는 틀렸다: '국민총행복'을 높이는 새로운 지수를 찾아서 조지프 스티글리츠,아마르티아 센,장 폴 피투시 공저 | 동녘 | 원서 : Mismeasuring Our Lives (2010) 넛지 : 똑똑한 선.. 2011. 11. 30.
[놓쳐선 안될]화제의 신간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행복국가를 정치하라"란 이 책이 이번 주 교보문고에서 "놓쳐서는 안될 신간"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예스24 서점에서도 화제의 신간으로 소개되었군요. 역자로서 기쁩니다. 정치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좋은 책을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다음은 세계일보 기사 카피입니다. 경제성장과 국.. 2011. 11. 22.
많은 신문에서 기사로 소개가 되었습니다. 출판인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군요. "하루에도 수백 권씩 쏟아져나오는 책들을 보면 누구나 그런 마음이 들 거다. 토요일마다 일간지 책 소개에 아주 작게라도 우리 책이 소개되면 마치 베스트셀러 자리라도 예약한 듯 기쁘고, 어떤 파워블로거가 우리 책을 언급해주.. 2011. 11. 20.
오마하의 그루 구입처: 전국 각 서점 그리고 인터넷 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93966114&orderClick=LAG 예스24 http://www.yes24.com/24/goods/5924654?scode=032&OzSrank=3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966117 2011. 11. 10.
"행복국가를 정치하라" 출간 서평 『행복국가를 정치하라』 데릭 보크 지음 추홍희 옮김 지안출판사 2011년 11월 2011년 11월 10일, "행복국가를 정치하라"책이 출간되었습니다. 마침 수능날에 맞추어서 책이 출간되었네요. 수능시험 끝나면 부모님 자녀들 모두 함께 서점에 나가셔서 책을 구입하시면 더욱 행복하실 것입니다.. 2011. 11. 10.
한국에서 커피값이 비싼 이유?: 스타벅스 커피 지수와 멕도날드 햄버거 지수 The Starbucks index Burgers or beans? A new theory is percolating through the foreign-exchange markets Jan 15th 2004 STARBUCKS was due to open its first coffee shop in France on January 16th—a brave step, given that Paris invented café culture. Some of the French press are frothing at the mouth at the notion that Americans think they can make coffee. Jean-Paul Sartr.. 2011. 11. 7.
"이제는 공감자본주의다"<= 버드나무가지 늘어터진 소리하고 있네~~~~~~~~~~~~~~~ 보수경제지들의 시각이 얼마나 잘못되어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 먼저 신문기사를 카피해 온다. 매경 한경 등의 보수적 시각은 너무나 이념에 경도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성이 크게 부족하고 사실 파악 자체에 오류가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해결책을 제시하는데는 근본적인 문.. 2011. 11. 1.
100년은 안전하다던 日연금, 7년 만에 또 파탄 미국, 일본의 경우를 봐라, 한국도 그대로 답습할 것~~~~~~~ [日, 연금 지급시기 현재 60세서 68~70세까지 올리기로] 100년은 안전하다던 日연금, 7년 만에 또 파탄 [日, 연금 지급시기 현재 60세서 68~70세까지 올리기로] 임금상승률 예측 빗나가고 실질적으로 15조엔 초과 지급 "연금 받기.. 2011. 11. 1.
더블딥 우려를 증폭시키는 경제 신호들 Economic Signals Heighten Worries of a Double-Dip September 23, 2011, 5:45 PM KST 더블딥 우려를 증폭시키는 경제 신호들 By SUDEEP REDDY And BEN CASSELMAN 세계 경제는 과연 또 한번의 침체기를 향해 가고 있는 것인가? 목요일 나온 자료에 의하면 중국(세계 경제회복의 핵심 견인차 역할을 하는)과 유럽에서.. 2011.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