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제 고통에서 해방될까?
인간에게는 최악과 최선이 공존한다. 상황이 닥치면 무슨 짓이든 저지를 수 있는 존재다. 이 명제에 대해서 기원전 430년 디오니소스 축제 때 처음 공연된, 소포클레스의 비극작품 “외디푸스 왕”으로 한 번 알아보자. “외디푸스”라는 말은 어원적으로 “발이 부르튼 사람”을 뜻한다. 외디푸스 왕은 왜 발이 부르텄을까? 외디푸스왕은 원래 이민자이었다. 발이 부르트도록 걸어다닌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이 붙여진 것이 아닐까? 위험에 처해있는 조국을 건져내는 가장 어려운 스핑크스 문제를 해결해 낸 국민적 영웅이 "외디푸스 왕"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외디푸스 왕는 결점도 많은 인간이었다. 그에게는 충동적이고 화를 바로 내는 단점이 있었다. 동네밖에서 길을 가로막고 비껴주지 않는 노인을 보고 화가 나서 바로 죽여버릴 정도로 성격이 급하고 참을성이 없는 인간이었다. 우리가 세상을 살면서 느까게 되는 점 하나는 "알면 닥친다"는 것 즉, 때로는 "모르는 것이 약이다". 외디푸스왕의 어머니이자 그의 아내인 조카스타는 그들의 과거사를 아는 순간 자살을 하게된다. (우리 인간에게 기억이 없으면 책임이 나오지 않는다.) 외디푸스왕은 목을 매고 죽은 저카스타의 옷에 달린 브로우치로 자기 눈을 찔러버린다. 자기 운명을 알지 못했다는 후회이었을까? 아니면 근친상간이라는 점에서 수치심을 느껴서였을까? 외디푸스왕은 두눈이 먼 심봉사가 어린 딸 심청이를 키운 것처럼, 부모에게 닥친 재앙을 모르는 두 딸 이스메네와 안티고네를 함께 데리고 먼 이국땅으로 멀리 이민을 가게 된다. 외디푸스왕처럼, 이민을 가는 목적은 기억에서 해방하고자 함인 것이다. 인간에게 새로움의 삶이란 기억으로 부터 해방되지 않으면 기약되지 않는 제약조건이 있다. 승리의 기쁨도 수치심도 기억에서 나온다. 승전보를 전하기 위해서 42.195km의 마라톤 들판을 달려온 연유도, 햄릿의 고뇌도 모두가 "기억"이 없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 인간은 자신의 작은 잘못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해서 콘트롤할 수 있다는 자만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운명은 자신의 영역 밖이다. 내일 일은 아무도 모른다. 언제 죽을지 아무도 모른다. 우리가 가진 것을 한순간에 잃어버릴 수도 있다. 인간은 잘못으로 가득한 죄인이다. 갈대만큼 약한 존재다. 인간은 약점으로 가득차 있고 원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 아무도 없다. “외디푸스 왕”의 마지막 부분 합창의 대사는 다음과 같다.
“내 동포들이여, 외디푸스왕을 보아라.
그는 뛰어난 머리로 그 어려운 수수께끼를 풀어내었고
왕의 자리에 올라 세상 최고의 권세를 가진 사람이 되었다.
그의 위대함을 바라보며 어느 누군들 선망을 품지 않았을 수 있었을까!
그러나 이제 칠흑의 밤바다 같은 공포가 그를 삼켜버렸다.
이제 우리가 지켜보며 마지막 날을 기다릴뿐이니.
그 누구도 행복하다고 생각하지 말아라,
죽어서 마침내 고통에서 자유로워질 때까지.
“외디푸스”가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 일반적인 해석을 따르지 않고 내 생각을 말한다면 (이미 앞에서 말했다),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식자우환”이라는 말처럼 인간은 알면 알수록 고통은 더 커진다. “모르는 것이 약이다.”"It's better not to know." “검증되지 않은 삶은 의미가 없다(The unexamined life is not worth living.)” 소크라테스의 지혜를 가지는 사람은 동시에 괴로움을 간직한다. 대의(국가와 사회)를 위해서 진실을 파헤치는 사람은 몹시 괴롭고 힘들다는 것도 사실이다. 외디푸스가 자기가 입양아라는 과거사실을 알지 못했다면 그에게는 비극이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인간의 삶은 “기억(memory)”이다. 우리 삶은 기억이기 때문에 괴로운 것이다. 그래서 망각의 강인 레테의 강을 건너면 비로소 행복함을 찾을 수 있다고 말은 일리가 있다. 아침에는 4발로 걷고, 점심때는 두발로 걷고 저녁에는 3발로 걷는 짐승은 누구일까? 그 답은 “인간”이다. 어느 누구도 풀지 못했던 어려운 수수께끼를 풀어낸 외디푸스이었다. 외디푸스는 매우 비상한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 수수께끼에 “걷는다”는 말이 들어간다. “외디푸스”라는 말 자체에도 "걷는다"라는 의미가 들어있다. "외디푸스"라는 말의 그리스 어원을 보면 "외디푸스 Oedipus"는 “부르튼 발”이라는 뜻이다. 외디푸스는 인간은 많이 걷는 존재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발 foot은 그리스 라틴어 불어 영어로 모두가 "걷다 walk, travel의 뜻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 인생은 걷는 것, 길 위의 방랑자이다. "김삿갓"이 "방랑자"인 것처럼, 외디푸스는 그런 방랑의 뜻이 들어 있다. 베에토벤처럼 산책을 많이 하는 사람이 지혜롭다는 말을 이해하겠는가? 인간은 걷는 존재다. 발이 부르트도록 걸어야 한다. 기억이 쇠진할 때까지. 인간은 “발품”을 팔아야 하는 존재라는 것. "The inn that shelters for the night is not the journey's end." A man, like the traveler, must be ready for the morrow." You must be ready to travel on the morrow.
호머의 "오딧세이"도 주인공은 걷는다. 주인공은 고행에 다시 먼길을 돌아온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타국을 떠도는 이민자로서 성공의 삶을 살아간다. 우리는 태초부터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땅을 향해 걷는 존재이다. 목적이 아니라 과정인 것이다. 제프리 초서의 "순례자"가 우리 인간들이다. 우리는 잠시도 쉴 수 없다. 날이 새기가 무섭게 다시 하루종일 걸어다녀야 한다. 발품을 팔아야 하는 존재다. 어쨋든 다람쥐 쳇바퀴를 도는 존재다. 만보계를 차고서. 돌고 도는 인갱이다.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걷고 또 걷는 타박네의 인생이다. treadmill.
아무리 지혜가 큰 사람이라도 해도, 살아 있는 동안, 인간은 진실을 찾는 사람에게는 고독한 고통의 삶이 전개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고통은 죽을 때까지 떠날 수가 없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외디푸스 왕=발품발이= 진실된 삶을 찾는 사람은 헤메인다=방황하는 존재=계속 걸어라=슬퍼할 겨를이 없다=내일이 없는것처럼 오늘의 삶을 부딪혀라=맨발의 이사도라=우리 인간의 피할 수 없는 운명. 인간은 알아도 문제요, 몰라도 고통이다. 그렇다면, 쇼팬하우어식(결혼해도 고통이요, 안해도 고통이다, 그렇다면 하는 것이 낫다)으로 말한다면, 알고나서 고통을 느끼는것이 보다 낫다. 인간은 선악이 공존하는 존재로서 결자해지를 할 수 있는 존재다. 피로이드가 말한 외부충격적으로 진실을 깨닫는 존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진실은 거기에 있다.” “the truth is out there."
(*이런 나의 생각은 1백년전에 유행했던 프로이드가 해석한 “외디푸스 콤플렉스(근친상간 콤플렉스)”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에게는 잘 이해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무용가 아사도라 던컨
Isadora Duncan on the
"To seek in nature the fairest forms and to find the movement which expresses the soul in these forms—this is the art of the dancer. ... My inspiration has been drawn from trees, from waves, from clouds, from the sympathies that exist between passion and the storm."
CARL SANDBURG ("Isadora Duncan"): "The wind? I am the wind. The sea and the moon? I am the sea and the moon. Tears, pain, love, bird-flights? I am all of them. I dance what I am. Sin, prayer, flight, the light that never was on land or sea? I dance what I am."
'에세이 수필 > 레테의 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끼라메 (0) | 2015.07.30 |
---|---|
기억의 지속과 해체 (0) | 2015.07.29 |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0) | 2015.07.26 |
결국 사랑과 죽음은 기억과 망각의 줄타기이다. (0) | 2015.07.26 |
유령의 예언의 믿는다 (0) | 201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