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무대왕7

문무왕릉비 (文武王陵碑) 비문뒷면 제20행 “분골경진” 해석 문무왕릉비 (文武王陵碑) 비문뒷면 제20행 “분골경진” 해석*필자 추홍희추홍희는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UNSW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NSW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호주 변호사가 되었다. UNSW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로스쿨에서 법학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머리말1.    문무왕릉비 비문 앞면 제3행 경진씨 해석2.    문무왕릉비 비문 뒷면 제20행 분골경진 해석▨命凝眞 貴道賤身 欽味釋▨ 葬以積薪 ▨▨▨▨ ▨▨▨滅 粉骨鯨津 嗣王允恭 因心孝友 冈▨▨▨맺음말영문초록참고문헌  머리말문무왕릉비 비문 뒷면 제20행에 나오는 “粉骨鯨津”(분골경진)을 국사편찬위원회는 “경진(鯨津)에 뼛가루를 날리셨네”라고 번역 해석하였다. .. 2024. 8. 8.
정말 신라는 흉노족의 후손일까? 1. 들어가기-말과 글과 문화-사전의 가치 정말 신라는 흉노족의 후손일까? 문무대왕 왕릉비문 속에 등장하는 “秺侯 祭天之胤”(투후 제천지윤)을 “투후 김일제”라고 해석하는 주장들이 존재한다. 탈-진실사회에서 활개치는 인터넷 가짜글들은 두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지난 30년간 식민사학자들이 진행시켜 온 특히 KBS 방송 역사 스페셜 등 각종의 신문 방송에서 문무대왕 왕릉비문의 “투후”를 “김일제”로 해석하여 “신라인은 흉노족의 후손”이라고 떠들어대고 있는 이들 때문에 역사 교육의 혼란스러움이 극한 상황에 다다른 지경이다. 그렇게 떠들어댄 이유 중 하나는 공자도 칭찬해 마지 않았던 우수한 한반도 동이 민족을 침략자 서방 강족 흉노족으로 변신시켜 민족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만들어 내고, 그리하여 유구한 역사를 .. 2024. 4. 17.
“투후”를 “김일제”이라고 해석하는 한국인들에게 “투후”를 “김일제”이라고 해석하는 한국인들에게 투후 상구성-반악의 서정부와 백제 흑치준 묘지명의 투후는 누구인가 투후를 김일제라고 해석하는 한국 사람들에게 나는 그들의 잘못을 한번에 깨부숴버리는 주장으로서 우선 강희자전을 즉시 펼쳐보기를 바란다. 한자옥편만 펼쳐봐도 투후 김일제라고 단정하는 사람들의 주장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바로 알 수 있다. 그런데도 그동안 왜 한국인들은 눈뜬 봉사가 되었고 코끼리 다리 만지는 장님이 되었고 귀마저 멀은 귀머거리가 되었고 벙어리 삼룡이 농아가 되었단 말인가? “한 나라가 종교에 대한 믿음을 잃게 되면 그 문명은 국내적으로 사회적 분열을 겪거나 외부 군사적 침략의 위험에 노출되거나 경제적 식민지 노예 상태로 전락할 그럴 위험에 처하게 된다. 믿음의 상실이 가져온 결과로 .. 2024. 4. 17.
9장 왜 권력의 역사만 선택되었고, 예를 들어, 종교나 문학의 역사는 빠졌을까? 9장투후 상구성 전기 투후 상구성(商丘成)은 누구인가? 투후 상구성 전기 상구성(商丘成)은 성은 상구(商丘) 이름은 성(成)이다. “열선전”에 상구자서(商丘子胥)라는 선인이 소개되어 있고, 상구는 복성이다. 상나라의 수도가 상구였다. 투성이 위치한 성무현이 이 근처이고 오늘날 산동성 하택(荷澤)시 부근이다. 상구성의 출생 연도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대홍려와 어사대부를 지낸 관직 경력과 무고의 난 때 한고조 묘지기를 지낸 전천추(?-BC 77)의 기록을 통해서 대략 추측해 보면 BC 2세기경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한서 기록에 따르면 한문제(BC 202-BC 157) 묘지기 첨사로 재직 중 설화를 입어 BC 88년 황제에 대한 불경죄의 판결이 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상구성은 한무제 때 조.. 2022. 9. 19.
『문무대왕릉비 연구 1: 문무왕 & 당태종』 『문무대왕릉비 연구 1: 문무왕 & 당태종』 추홍희 저자 이통장연합뉴스출판부 발행 2020년 06월 22일 출간 책소개 《『문무대왕릉비 연구 1: 문무왕, 당태종』 한국사 신기원(왕릉발견 비문해독)》 이 책은 반만년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문무대왕릉비를 최초로 해독한 문무대왕릉 연구서이다. 이 책은 지금까지의 교과서에 실려 있는 한국사 내용을 정면으로 통박하는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 이 책에서 밝히는 새로운 내용으로 인해서 국사 교과서 내용이 완전히 바뀌게 되는 역사의 대혁명적인 사건에 해당한다. 문무왕릉비 비문 해독 작업은 추사김정희도 해내지 못했던 매우 어려운 일이고, 따라서 이 책은 반만년 한국 역사상 최초의 거대한 업적에 해당한다. 저자는 지금까지도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진실을 찾아내기 위해 .. 2020. 6. 23.
『역사 혁명』-제1장-1 일러두기 1. 이 책은 저자가 2020년 동시에 출간하는 ① 『문무왕릉비 비문원문 해석: 태초의 비밀을 풀다』-『상/중/하』 제1권/제2권/제3권 ②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 ③ 『秺侯祭天之胤: 한국사의 신기원』 ④ 『유신 애강남부와 문무왕릉 비문 관련성 연구』 ⑤ 『첨성.. 2020. 2. 8.
『역사 혁명』-제2장 II. 리서치 조사 연구 원칙, 방법론, 연구성과 사회 공헌도 리서치의 개념과 연구 윤리 책임 이 책은 저자의 연구 결과물이다. 조사연구란 체계적인 학문과 사고작용, 관찰과 실험을 통해 습득되는 지식을 탐구하는 것을 말한다. 각방면의 학문마다 방법론은 다를 수 있으나 모든 학문은 우리 인류 자신과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동기와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1] 조사연구는 모두가 소유하는 공동 기업의 작업과 같으며, 교육기관과 기업체 또는 다른 유형의 단체에서 수행된다. 조사연구는 직간접적으로 협력과 공동작업이 수반되므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는 경우가 흔하다. 연구영역과 문제제기를 정하고 이론을 수립하고 실제적 증거를 수집하고 적합한 방법론을 고안하는 학문의 자유가.. 2020. 2. 5.